주택임대소득 2천만원 이하 과세기준

유용한 정보 by 낭만감자 2022. 5. 23.

주택임대소득 과세기준 정보는 주택으로 임대를 놓아 월세를 받는 분이라면 알아야 할 정보입니다. 얼마 전 세무서에 방문했다가 세금정보 책자를 보던 중 관련 팸플릿이 있어 유심히 살펴보았는데요.

 

임대소득으로 노년을 보내는 상상을 누구나 하실 겁니다. 현실은 아직 노년도 임대사업을 할 만한 여력도 되지 않으나,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위해 미리 공부하는 차원에서 알아두는 것도 마인드 세팅을 위해 좋은 것 같습니다.

 

 

 

주택임대소득 절세 팁

 

 

주택임대소득 과세기준

 

 

주택임대소득은 2019년 귀속분부터 상가 임대업 등 다른 업종과 형평성을 고려하여, 소득이 있는 곳에 과세가 있다는 원칙에 따라 총수입금액 2천만 원 이하의 주택임대 소득도 소득세를 과세하기로 했답니다. 그래서 나라에서 정한 기준에 해당하면 과세기준에 따라 세금을 내야 합니다.

 

  • 1 주택자라도 국외소재에 주택이 있거나, 기준시가가 9억 원이 넘는 국내 소재 주택으로 월세 수입이 있다면 포함되고, 2 주택자도 월세 수입이 있다면 포함되는데, 1 주택자와 2 주택자의 보증금은 과세하지 않는답니다.

 

  • 그러나 3 주택 이상으로 월세 수입이 있거나 보증금 합계가 3억 원을 넘는 경우에는 보증금도 과세 대상이랍니다. 여기서 주거전용면적이 40제곱미터 이하면서 기준시가 2억 원 이하는 보증금 과세대상 주택에서 제외되는데 그것도 2021년까지 라니.. 과세된다고 봐야겠어요.

 

  • 주택임대 총수입금액이 2천만 원 미만이면 6~45%의 종합과세 세율과 분리과세 세율 14% 중에 선택해서 신고할 수 있는데요. 2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다른 종합과세 대상 소득과 합산하여 6~45%의 세율로 계산하여 신고해야 한답니다. 

 

 

임대소득 2천만 원 이하 세율

 

주택임대소득이 2천만 원 이하라면 등록 임대주택과 미등록 임대주택 여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는데요.

 

등록 임대주택은 세무서와 지자체에 모두 등록하고 임대보증금과 임대료 증가율이 5%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을 제외한 종합소득 금액이 2천만 원 이하인 경우 공제, 국민주택규모의 임대주택으로 조세특례 제한법 제96조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답니다.

 

등록 임대주택을 마친 2천만 원의 이하의 임대소득자라면 필요경비 60%, 400만 원 공제를 적용 14%의 세액에 단기 4년은 30%(20%) 8.10년의 장기는 75%(50%)의 세액을 감면받을 수 있다네요.

 

반대로 미등록 임대주택은 필요경비 50%, 2백만 원으로 14%의 세율을 적용하고 세액감면은 없답니다.

 

임대수입금액-필요경비=소득금액-소득공제= 과세표준*세율= 산출세액-감면공제=결정세액의 흐름으로 가는데요.

 

금방 말씀드린 건 다른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내린 계산이고요. 급여생활자나 사업 자면서 임대소득이 발생하고 2천만 원이 넘을 경우에는 종합 세율로 6~45%를 적용하니 산식이 복잡해지겠죠.

 

래서 간단하게 주택임대소득 2천만 원 이하 과세기준을 알아보았습니다.

 

 

 

홈택스 바로가기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인터넷 우체국 내용증명 신청방법

우체국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내용증명을 신청할 수 있는데요. 내용증명은 발송인이 수취인에게 문서를 언제 발송하였다는 사실을 우편 관서가 공적으로 증명해 주는 우편서비스

gamjalife.tistory.com

 

희망리턴 패키지 전직장려수당 신청방법

희망리턴 패키지 전직장려수당은 소상공인 시장진흥공단에서 신청하는데 폐업한 소상공인은 폐업 점포 재도전 장려금과 전직 장려금 등 혜택을 받아 새롭게 시작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gamjalife.tistory.com